2019. 1. 8 오후 1:01:45
91%의 ‘Business to Business(B2B)’ 전문가들은 중요한 전략으로써 콘텐츠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.
B2B 콘텐츠마케터들이 만들어낸 모든 콘텐츠가 아주 뛰어나거나 흥미진진하거나 가치 있는 것만은 아닙니다.
그렇다면 무엇을 해야 성공하는 B2B마케팅 콘텐츠 제작자가 될 수 있을까요? 어떻게 해야 같은 업계에서 일 하는 동료들이 조언과 의견을 구하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?
2019. 1. 8 오후 1:01:45
91%의 ‘Business to Business(B2B)’ 전문가들은 중요한 전략으로써 콘텐츠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.
B2B 콘텐츠마케터들이 만들어낸 모든 콘텐츠가 아주 뛰어나거나 흥미진진하거나 가치 있는 것만은 아닙니다.
그렇다면 무엇을 해야 성공하는 B2B마케팅 콘텐츠 제작자가 될 수 있을까요? 어떻게 해야 같은 업계에서 일 하는 동료들이 조언과 의견을 구하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?
by Richard Jo
2019. 1. 6 오전 8:44:00
죄책감과 분노 외에도 과거의 사건으로 삶의 발목을 잡는 또 다른 부정적 감정으로 자부심을 들 수 있다. 이 대목에서 많은 사람들은 의아해 할 것이다. ‘자부심이 부정적이라니?’ 출신학교나 스포츠팀, 또는 일하고 있는 직장, 직장 내 팀 등등 모든 공동체들은 그들만의 자부심, 즉 프라이드를 가지고 있고, 또 가지기를 권장한다.
by 이건호
2018. 10. 15 오후 3:15:34
흔히 크리에이티브의 영역이라고 여겨지는 콘텐츠 제작. 예술 및 미적 감각, 혹은 탁월한 글재주가 없다 해도 좌절하지 말자. 콘텐츠 제작과정에도 일련의 공식이 적용되고 있으니.
by Nikki Son
2018. 10. 5 오후 1:17:31
앞선 글에서 콘텍스트와 페르소나에 관해 이야기했다.
문맥과 청중을 파악했으면 그에 따른 좋은 콘텐츠를 작성하는 일이 남아있다. 그런데 좋은 콘텐츠, 대체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 걸까?
by Nikki Son
2018. 8. 31 오전 8:40:00
페르소나 및 컨텍스트
“마케팅은 연애와 같아요.”
마케팅 전문가가 어떤 강의에서 전한 말이다. 100% 공감하는 바이다. 연애를 잘하는 사람은 ‘센스’가 있다. 마케팅도 센스가 필요하다.
센스 있다는 건 무엇일까? 다양한 요인들이 있겠지만, 이 중 ‘분위기’를 잘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. 여기서 말하는 센스와 분위기는 ‘상대방의 취향을 잘 파악하고 이에 맞춰 행동함’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겠다. 평소 상대방의 습관을 파악해 현재 의중을 짐작하고 그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 센스다.
by Nikki Son
2017. 6. 27 오전 12:24:35
당신이 콘텐츠 마케팅의 새내기이건 혹은 바이럴 컨텐츠 전문가이건, 어떤 트윗, 동영상, meme 가 성공적인 바이럴이 될지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. 차라리 구전성(virality)은 완전히 무작위인 것처럼 보입니다. 왜 대부분의 컨텐츠가 매몰되어 잊혀져 가는 반면, 일부 컨텐츠는 매우 대중적 인기를 얻는가?
전문가들이 견해를 밝힙니다.
by Richard Jo
마케팅 사고(思考) 리더십 주간 업데이트